-
항공기상 예보 TAF 해석 _ feat. 항공기상청항공관련 이야기/항공상식 2020. 11. 10. 22:37반응형
안녕하세요. 항공쟁이입니다!
오늘은 항공기운항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외부 요소인 '항공기상'에 관련하여 포스팅하려고합니다.
비행계획을 할때부터, 운항 시작과 종료 때 까지 기상요소는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또, 저도 전공 공부를 하면서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내용이다 보니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정보가 되길바랍니다 :)
현업에서도 항공기상예보를 통해 비행계획을 RELSE하고, 운항 시 계속 모니터링하게됩니다.
항공기상은 다양한 약어로 되어 있어서 관련 공부를 하지 않으면 쉽게 읽히지 않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이게 공항 주변 날씨를 아주 정확하게 볼 수 있어서 여행을 준비하거나, 공항 주변에 사는 사람의 경우 매우 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해당 내용은 항공기상청 업무지침에 출처가 있음을 밝힙니다.)
■ 항공기상 예보(Forecasts)
1. 공항예보(Terminal Aerodrome forecasts/TAF)
- 공항예보(TAF)란?
공항예보는 일정기간(보통 6시간에서 30시간)동안 공항에서 예상되는 우세한 기상현상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부호를 사용하여 서술하는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고, 쉽게 말해 공항근처 날씨 예보입니다.
- 공항예보의 발표관서(Met office issuing TAF)
공항예보는 항공기상청의 항공기상관서에서 발표하고, 군 관할 공항은 군에서 발표한 예보로 대체합니다.
▷ 그래서 인천/김포 등 국제 민간 공항은 항공기상청에서, 청주/광주 등 군기지 공항은 군 기상대에서 발표하게되요. 실무적으로도 예보관련해서 문의하게되면 군에 직접 연락하기도 한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항공기상청도 예보가 아주 정확하진 않았지만 군예보는 더욱 못 믿어웠던거 같아요. 아무래도 전투기를 위주로 예보를 하다보니 민항기는 좀 덜 생각해주는 경향이 없지않아 있던거로 생각이 들더라구요..)
- 공항예보의 발표시각(Issuing time of TAF)
국제공항에 대한 공항예보는 일 4회(05, 11, 17, 23UTC) 발표하며, 국내공항에 대한 공항예보는 일 4회(00, 06, 12, 18UTC) 발표합니다. 다만 항공기 운항 상황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공항예보의 발표시각 및 유효시간을 조정할 수 있고, 기상관서는 한 공항에 대하여 주어진 발표시간에 하나의 예보만을 발표한다.
▷ 하지만 기상은 계속 시시각각 변화하므로, 예보가 변경될 수 있어요. 매 약속된 시각에 TAF가 발부되지만 AMD라고 수정발부되기도 한답니다.- 공항예보의 유효시간(Period of validity for TAF)
공항예보의 유효시간은 각각의 발표시각 1시간 이후부터 30시간 이내로 하며, 새로 발표되는 공항예보는 이전에 발표된 공항예보를 대체한다.
▷ 그래서 TAF가 새로나오게 되면 이전에 나온 TAF와 수정된 AMD TAF는 무시하고 현재 새로 발부 된 것이 기준이 됩니다.- 공항예보의 내용 및 형식(Contents and format of TAF)
가. 공항예보는 WMO No 306 Manual on Codes, FM 51-Ⅻ TAF ICAO ANNEX3, Appendix 5, Table A5-1 형식에 의해 발표하며, 항공고정통신망을 통해 국내․외로 교환한다.
나. 공항예보의 형식(WMO No. 306 Manual on Codes, FM51-Ⅻ TAF CODE FORM ICAO ANNEX3, Appendix 5, Table A5-1)ICAO에 의거한 TAF 형식 ▷ TAF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국제표준' 기준에 맞게 작성되어어야 합니다.
이는 항공의 여러가지 특성 중 "국제성"에 의한것인데, 만약 외국항공사 혹은 외국에서 우리나라 ICN 공항으로 운항을 준비하게 될 때, 우리나라 인천공항의 기상예보인 TAF를 통대로 비행계획을 하고 적정연료량을 계산해야 함과 운항의 가부 결정까지 해야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예보가 너무 부정확하거나 다른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면 안됩니다.)
다. 예보에 서술하는 변화 및 확률군의 수는 최소한으로 하여야 하고, 보통 5개 군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라. 예보를 발표한 항공기상관서에서는 예보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수정예보를 발표합니다.■ 공항예보 전문(Message of TAF)
가. 식별군
1) 식별군은 보고형태 지시자, 지명 약어, 발표시각 및 유효시간 순으로 작성합니다.
전문형식 TAF CCCC YYGGggZ Y1Y1G1G1/Y2Y2G2G2
작성 예시 : TAF RKSI 130500Z 1306/1412
해석 예시 : 인천국제공항의 공항예보, 발표시각은 13일 0500UTC, 유효시간은 13일 0600UTC부터 14일 1200UTC까지.
2) 보고형태 지시자(TAF) : TAF(Terminal Aerodrome Forecasts)
3) 지명 약어(CCCC) : 공항의 ICAO 지명 약어
4) 발표시각(YYGGggZ) : 발표시각으로, 날짜/시각/분으로 구성(UTC 기준)
5) 유효시간(Y1Y1G1G1/Y2Y2G2G2 ) : 유효시간으로, Y1Y1G1G1부터 Y2Y2G2G2까지.나. 지상풍
1) 풍향과 풍속은 dddff로 공백 없이 표시하고, 풍속은 측정단위(KT 또는 MPS)를 붙입니다.
전문형식 dddffGfmfmKT 또는 MPS
작성 예시 : 31015G25KT
해석 예시 : 풍향 310°, 평균풍속 15kt, 최대순간풍속 25kt
2) 최대풍속(돌풍)이 평균풍속보다 10kt(5m/s)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 평균풍속 뒤에 문자 G를 붙이고 최대풍속을 표현합니다. 풍속이 100kt(50m/s) 이상으로 예상 될 때는 문자 P 뒤에 99KT(49m/s)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작성 예시 310P99KT
해석 예시 풍향 310°, 평균풍속 100kt 이상
3) VRB는 평균풍속이 3kt(1.5m/s) 미만일 때 또는 평균풍속이 3kt(1.5m/s) 이상이지만 우세한 풍향을 예상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바람이 1kt(0.5m/s) 미만일 것으로 예상되면 풍향․ 풍속은 00000(calm)으로 표현합니다.다. 시정
1) VVVV는 시정을 의미하며 예상되는 우세시정을 4자리 숫자로 표시하고, 우세시정으로 예보할 수 없을 때는 최단시정으로 표현합니다.
전문형식 VVVV 또는 CAVOK
작성 예시 : 8000
해석 예시 : 시정 8,000m
2) 시정이 800m 미만으로 예상될 때는 “0350” 등과 같이 50m 단위로 표현한다.
3) 시정이 800m 이상 ~ 5,000m 미만으로 예상될 때는 100m 단위로 표현한다.
4) 시정이 5km ~ 10km 미만으로 예상될 때는 “7000”등과 같이 1,000m 단위로 표현한다.
5) 시정이 10km 이상으로 예보될 때는 CAVOK가 적용되는 예보를 제외하고는“9999”로 표현합니다.
6) 다음의 조건에 부합할 때는 시정, 일기 및 구름군 대신에 “CAVOK”를 사용합니다.
① 시정 10km 이상
② 운항 상 중요한 구름이 없을 때
※ 운항 상 중요한 구름 : 운저고도가 1,500m(5,000ft) 미만 또는 최저구역 고도 중 높은쪽 아래의 구름, 운저고도에 관계없이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
③ 중요일기현상이 없을 때 (WMO No.306 Manual on coeds, code table 4678참조)
▷ 정말 날씨가 너무 좋을때 CAVOK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이게 'Ceilng And Visibility is OK'의 약자로 말그대로 시정과 구름이 좋다는 뜻이에요. 항공기 운항에 가장 신경써야 되는 요소 중 두개가 충족이 되니 비행계획을 하는 시점이나 운항하는 시점에서는 너무나 기분이 좋은 예보입니다 :)라. 일기현상
1) w'w'는 유효시간동안 예상되는 일기현상을 의미합니다.
전문형식 w'w' 또는 NSW
작성 예시 : SHRA
해석 예시 : 보통강도의 소낙성 비
2) 공항 내에서 다음의 각 일기현상의 특성과 강도가 단일 또는 복합 일기현상에 의해 발생
이 예상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 최대 3개까지 예보한다. 이러한 일기현상이 끝날 것으
로 예상될 때에는 “NSW"로 표현한다.
① 어는 강수
② 어는 안개
③ 보통 또는 강한 비(소낙성 포함)
④ 낮게 날린 먼지, 모래 또는 눈
⑤ 높게 날린 먼지, 모래 또는 눈(눈폭풍 포함)
⑥ 먼지 폭풍
⑦ 모래 폭풍
⑧ 뇌전(강수 유무 무관)
⑨ 스콜
⑩ 깔때기 구름(토네이도 또는 용오름)
⑪ 기상당국과 ATS 당국 그리고 관련 운항자와의 협의에 따른 WMO No 306 Manual on
codes의 code table 4678에 포함된 일기현상
▷ 이러한 다양한 일기현상은 각각 '코드'로 구분이 됩니다.기상 용어 풀이 예시 마. 구름
1) 운량은 전체 하늘에 대해 구름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을 okta(8분위)로 표현하며 운량에 따라
FEW (1~2oktas), SCT (3~4oktas), BKN (5~7oktas), OVC (8 oktas)를 사용하며 운고는 100ft 단위로 표현합니다.
전문형식 NsNsNshshshs 또는 VVhshshs 또는 NSC
작성 예시 : FEW005 FEW010CB SCT018 BKN025
해석 예시 : 500ft 고도에 1~2 oktas 구름, 1,000ft 고도에 1~2 oktas 적란운, 1,800ft 고도에 3~4 oktas 구름, 2,500ft 고도에 5~7 oktas 구름존재.
2) 구름이 전혀 없고, 약어 “CAVOK"가 적절치 않을 경우에는 ”NSC"를 사용합니다.
3) 하늘이 차폐될 것으로 예상될 때는 구름군 대신 수직시정(VVhshshs)으로 표현. 이때 뒤의 3자리 숫자는 100ft단위의 수직시정을 의미합니다.
4) 여러 운층 또는 운괴를 예보할 때는 그것의 운량과 운저고도를 다음 순서로 표현.
① 운량에 관계없이 적절하게 FEW, SCT, BKN 또는 OVC를 사용하여 최저운층 또는 운
괴를 예보
② 3/8이상을 가리고 있는 그 다음 운층 또는 운괴를 SCT, BKN 또는 OVC를 사용하여 예보
③ 5/8이상을 가리고 있는 그 다음 운층 또는 운괴를 BKN 또는 OVC를 사용하여 예보
④ ①~③에 보고되지 않은 적란운(CB)또는 탑상적운은 예상될 때마다 운형을 표시하여 예보
5) 구름정보는 예를 들어 5,000ft(1,500m)나 가장 높은 최저구역고도 중 높은 쪽 고도아래에 있는 구름과 적란운이 예상되는 경우로 운항 상 중요한 구름으로 제한합니다. 이러한 표현을 적용함에 있어, 적란운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5,000ft(1,500m)나 가장 높은 최저구역고도 중 높은 쪽 고도 아래에 구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CAVOK”의 사용이 적
절하지 않을 때는 약어 "NSC"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바. 기온
공항예보의 유효시간동안의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에 대한 발생일과 발생시각을 표현합니다.
(단 지역항공항행협정에 의해 기온예보를 포함할 경우)
작성 예시 : TX30/1306Z TN26/1321Z
해석 예시 : 13일 06UTC 최고기온 30℃ 13일 21UTC 최저기온 26℃사. 변화군
1) 변화군은 기상당국이 항공교통업무기관, 운항자 등과 협의하여 정한 특정 기준값 및 국제규정(ICAO Annex 3, APPENDIX 5 1.3.1 또는 WMO-No 49, 6.2.5)에서 정한 특정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2) 공항예보에서 사용하는 변화군의 변화 지시자는 BECMG, TEMPO, FM 등이 있다.
① 변화 지시자 BECMG (Becoming)
ⓐ BECMG은 특정기간(YYGGYeYeGeGe)내의 불특정시간에 예상되는 기상현상의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변화를 표현한다. 이러한 군의 뒤에 붙은 기상현상은 중대하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상요소만 표시하나 구름군은 예외합니다. 즉 여러 개의 구름군 중에서 하나의 구름군이라도 변할 것으로 예상되면 변화가 예상되지 않은 구름군을 포함하여 모든 구
름군을 표현합니다. 만일 변화군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면 BECMG YYGGYeYeGeGe 후에 주어진 기상현상이 YeYeGeGe시간 이후부터 예보기간 종료 시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변화기간은 보편적으로 2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라도 4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BECMG ⓑ BECMG 전문형식
전문형식 TTTTT YYGG/YeYeGeGe
작성 예시 : BECMG 1310/1312 6000 BKN010
해석 예시 : 13일 1000UTC에서 13일 1200UTC사이에 시정이 6,000 m가 되고 운고 1,000ft 운량 5~7 oktas의 구름이 예상됨.
▷ BECMG은 이 시점 이후 시정/운고/바람의 영향에 따라 항공기의 운항 가부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변화군입니다. 현업에서도 이 변화군을 매우 주의깊게 확인하고 있습니다.② 변화 지시자 TEMPO (Temporary)
ⓐ TEMPO는 특정기간(YYGGYeYeGeGe)의 어느 시간에 예상되는 기상현상의 일시적 변화를 표현합니다. 이러한 군에 표현된 기상현상 변화의 지속시간(각각의 ①,②,③,④)은 매 경우 1시간 미만이고, 각 변동시간의 합(①+②+③+④)이 YYGGYeYeGeGe 기간의 1/2미만일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합니다. 만일 매 경우 일시적 변동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각 변동시간의 합이 YYGGYeYeGeGe 기간의 1/2이상 될 것으로 예상되면 변화지시자 BECMG를 사용합니다.TEMPO ⓑ TEMPO 전문형식
전문형식 TTTTT YYGG/YeYeGeGe
작성 예시 : TEMPO 2611/2616 4000 +SHRA
해석 예시 : 26일 1100UTC에서 26일 1600UTC사이에 일시적으로 강한 소낙성 비가 오면서 시정이 4,000m가 될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 TEMPO는 비행계획 단계에서는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어요. 잠시 비가 왔다가 가거나, 구름 혹은 안개가 일시적으로 끼었다가 나갈 수 있는 환경이 많다보니 항공기 운항 시간과 딱 곂치지 않는한 크게 신경은 쓰지 않고, 단지 잠시 항공기가 홀딩할 수 있으니까 예비연료를 조금 더 탑재해서 비행계획 하는 수준이랍니다.③ 변화 지시자 FM (From)
ⓐ FM은 일련의 우세한 기상현상이 뚜렷하게 변하여 다른 기상현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합니다. FM 이후에는 모든 예보요소를 표현해야 하며 FM 시간군 (YYGGgg : 일자, 시간, 분) 이전에 주어진 모든 현상은 FM 시간군 이후에 표현된 현상으로 대체됩니다.FROM ⓑ FM 전문형식
전문형식 TTYYGGgg
작성 예시 : FM271215 27017KT 4000 BR BKN010
해석 예시 : 27일 1215UTC부터는 270° 방향의 바람이 17kt로 불고 박무로 인해 시정이 4,000m, 1,000ft 고도에 5~7 oktas의 구름이 낄 것으로 예상됨.
▷ 이 변화군은 사실상 국내에서는 군공항에서만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면, 기상예보에서 변화군을 사용한다는 것은 기상변화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중인데 이 시점을 정확히 딱 5시부터 혹은 6시부터 기상이 딱 바뀔것이다! 라고 확정을 짓는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기에 기상청에선 웬만하면 사용하질 않고, 군공항에서만 당당하게 이 변화군 FM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확률의 사용
1) 예보요소의 발생확률은 필요에 따라 약어 “PROB"를 사용하며, “PROB" 다음에 적용되는 예보기간과 10단위의 퍼센트 확률로 표현합니다.
전문형식 PROBC2C2 YYGG/YeYeGeGe [TTTTT YYGG/YeYeGeGe ]
작성 예시 : PROB30 TMEPO 1314/1316 TSRA SCT005 BKN010CB
해석 예시 : 13일 1400UTC에서 13일 1600UTC사이에 보통강도의 비를 동반한 뇌전과 500ft 고도에 운량 3~4 oktas 구름 및 1,000ft 고도에 운량 5~7 oktas의 적란운이 일시적으로 예상되지만 발생확률은 30%임
2) PROBC2C2는 기상현상의 변화에 대한 확신이 높지 않지만 변화가 예상되는 기상요소가 항공기 운항에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면 사용합니다.
▷ 아마도 위와 같은 내용으로 인해 저는 아직까지는 PROB을 본적이 없던것 같아요. 아주 중대한 영향을 미칠만한 기상변화가... 이 부분은 앞으로도 관심있게 TAF를 관찰하다가 후에 발견하게 되면 포스팅하겠습니다 :)
3) 지시자 C2C2는 발생확률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하며 30% 또는 40%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B뒤에는 항상 시간 YYGG/YeYeGeGe나 또는 TTTTT YYGG/YeYeGeGe이 붙습니다.
4) 예보요소에 대한 발생확률이 30%미만일 때는 운항 상 중요하지 않으므로 언급하지 않는다.
5) 예보요소에 대한 발생확률이 50% 이상이며, 그에 대한 확신이 크면 BECMG, TEMPO 또는 FM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6) 확률은 변화지시자 “BECMG" 또는 ”FM"를 수식하는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시적 변동이 예보기간의 1/2미만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TEMPO와 30% 또는 40%의 가능성이 예상되는 PROB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TEMPO는 일시적으로 기상현상의 변동이 발생한다는 예보자의 확신이며, PROB
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기술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자, 여기까지가 대략적인 TAF(공항예보)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설명해드렸는데요. 이제 종합적으로 이 TAF를 어떻게 읽는지 아래의 예시를 통해 확인하도록 할게요.
★ 공항예보의 해석(Interpretation of TAF)
TAF RKSI 130500Z 1306/1412 31015KT 8000 SHRA FEW005 FEW010CB SCT018 BKN025
TEMPO 1311/1316 4000 +SHRA
PROB30 TEMPO 1314/1316 TSRA SCT005 BKN010CB해석 : 13일 0500UTC에 발표한 인천 국제공항의 13일 0600UTC부터 14일 1200UTC 까지의 공항예보.
지상풍은 풍향 310°, 풍속 15kt, 시정은 8,000m에 보통 강도의 소낙성 비가 내리고, 500ft 고도에 운량 1~2 oktas 구름, 1,000ft 고도에 운량 1~2 oktas의 적란운, 1,800ft고도에 운량 3~4 oktas 구름 및 2,500ft 고도에 운량 5~7 oktas 구름이 낄 것으로 예상됨. 13일 1100UTC에서 1600UTC사이에 일시적으로 강한 소낙성 비가 내리면서 시정이 4,000m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13일 1400UTC에서 1600UTC사이에 일시적으로 보통강도의 비를 동반한 뇌전 현상이 예상되고 500ft고도에 운량 3~4oktas인 구름과 1,000ft고도에 운량 5~7 oktas인 적란운의 발생 가능성이 있으나 예상확률은 30%임.으로 해석이 됩니다.
사실, 일반인이 해석하긴 좀 난해할 수 있지만, 이 TAF를 읽을 수 있다면 적어도 여행을 준비하면서 공항에서 출/도착하기 전에 우산을 캐리어에 넣을지 빼고 준비를 할지 결정할 수 있는 소소한 꿀팁이 될수가 있답니다!
오늘은 항공기상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TAF에 대해 설명했고, 다음에는 매 시간 발부되는 실시간 기상정보 METAR에 대해 간략한 설명과 과거 태풍과 같은 운항상 영향이 있었던 TAF를 수집해서 보여드리고 특이사례공유를 하도록 해볼게요.그럼 안녕~
반응형'항공관련 이야기 > 항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등화시설 _ 조종사가 바라보는 공항 (0) 2020.11.17 ILS 구성요소 및 원리_ 항행안전시설 (0) 2020.11.11 공역의 장애물제한_feat.항공교통개론 (2) 2020.11.07 비행계획서FLIGHT PLAN(FPL)의 종류_ ATC FPL? OFP? (0) 2020.11.06 공항 비용(Aerodrome Charge) 정리_feat. AIP GEN 4.1 (0) 2020.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