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항공용어 풀이_운항관리 용어(무게와 속도)
    항공관련 이야기/항공상식 2020. 10. 26. 01:33
    반응형

    안녕하세요, 항공쟁이입니다.

     

    원래는 이 내용을 가장 먼저 했어야 했는데 미루다 보니 이제야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항공용어 설명인데요. 항공용어가 축약형도 많고 좀 생소한? 내용이 많아서 용어 설명을 먼저 시작으로 내용을 들어갔으면 좀더 체계적이었을텐데 아쉬움이 남네요;;

     

    운항관리 업무를 수행하거나 항공관련 업무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아래 용어를 숙지하시면 항공관련 이야기에 대한 이해가 훨씬 수월할거 같아요!

     

    ■ 무게 관련 용어

    MTOW ; Maximum Take-off Weight ; 최대이륙중량 - 정의 ; 항공기가 이륙함에 있어서 설계상 또는 운영상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 적재 가능한 중량. 이의 결정은 엔진 성능이 주 요소이다. 이륙중량은 TOW = Taxi Weight - Taxi fuel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Taxi Fuel은 항공기가 엔진 시동을 걸고 이륙지점까지 활주하는데 소모하는 연료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구한 이륙중량에 최대치인 MTOW를 설정하게 됩니다.

     

    MLDW ; Maximum Landing Weight ; 최대착륙중량 - 정의 ; 항공기가 착륙할 때 허용되는 총중량의 최대치. 이의 결정은 착륙접지시의 착륙장치의 강도로 제한된다.

    착륙중량은 LDW = TOW - Burnoff Fuel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Burnoff Fuel / Trip Fuel은 항공기가 이륙하여 목적 공항에 착륙할 때 까지 소모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구한 착륙중량에도 MLDW를 설정합니다.

     

    MZFW ; Maximum Zero Fuel Weight ; 최대무연료중량 - 정의 ; 연료를 제외한 최대의 허용 중량. 어느 구간을 운항하기 위하여 모든 승객 및 화물을 탑재하고 연료만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의 중량Zero Fuel Weight라 합니다. 승객 및 화물을 합하여 유상하중(Payload), 항공기가 승객 및 화물과 연료만 탑재하면 운항할 수 있는 상태의 중량을 SOW로 표현하여 무연료중량을 구하면 ZFW = SOW + Payload 입니. 항공기는 날개에서 양력을 받고 몸통에서 주로 하중을 받으므로 MZFW를 설정하지 않으면 날개 쪽에서의 벤딩모멘트에 의해 날개가 휘거나 꺾일 수 있기에, 항공기 제작사에서는 중량을 초과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어떠한 사고라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연료를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MZFW를 설정한다.

     

    AGTOW ; Allowable Gross Take-off Weight ; 허용이륙중량 - MTOW가 설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륙중량은 항로 조건에 따른 연료의 보급량 및 활주로 상태에 따라 제한을 받습니다. 항공기는 운항연료(Burnoff Fuel) 외에 체공(Holding)에 필요한 연료, 교체공항까지 가야할 경우 필요한 교체공항 연료(Alternate Fuel) 그리고 추가예비연료(Extra Fuel)등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연료를 탑재하고 운항하게 되므로 연료 탑재량에 따라 이륙중량이 변동되므로, AGTOW는 매 비행마다 산출해야 한다.

    최대허용이륙중량은 다음 4가지 중량 중, 가장 작은 중량이다.

    (1) 성능제한이륙중량(RTOW; Restricted Takeoff Weight) → 중요한 개념이라 따로 나중에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2) 최대이륙중량 (MTOW; Maximum Takeoff Weight)

    (3) 최대무연료중량 (MZFW; Maximum Zero Fuel Weight) + 연료탑재량

    (4) 최대허용착륙중량 + 소모연료량

    그리고 , (5) "성능제한순항중량 + (Critical Point 까지의) 소모연료량" 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이를 초과하게 된다면, 이륙중량을 제한하거나 회피항로 설정 혹은 연료의 공중 방출 (Fuel Dumping) 을 실시해야 합니다.

     

    ■ 속도 관련 용어

    V1 : Takeoff Decision Speed ; 승무원이 이륙단념을 결심 할 수 있는 최대속도이며, 또한 활주로 내에서 항공기를 정지 시킬 수 있는 최대속도이다. Go/ No Go 의 결정은 항공기 속도가 V1 도달 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그렇지 못한다면, V1 속도에서 승무원의 이륙단념 절차 (RTO; Rejected Takeoff) 는 시작하지 못하게 됩니다.

    V1에서 제동 조작이 시작 된다면 활주로 끝에서 완전히 정지할 수 있는 가장 늦은 시점. 반면, V1에서 나머지 엔진으로 이륙을 계속 한다면 활주로 상 규정된 높이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속도입니다.

     

    [깨알 상식 더하기 => 영화 '캐치미이프유캔'에서 디카프리오가 운항승무원으로 사기?를 치고 조종석에 앉아서 '데드헤드'(운항을 마치고 돌아오는 비행)비행을 하면서 비행기가 뜨기전에 "V1"이라고 기장님이 크게 말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알고 보면 보이는 생각보다 유명한 용어에요!:)]

     

     

    VR : Rotation Speed ; VRLiftoff을 향해 기체를 끌어 올리는 속도이다. VR은 다음 속도보다는 작게 되지는 않습니다.

    a) V1

    b) 1.05 VMCA

    c) 이륙면상 35 피트에 도달하기 전에 V2가 되는 속도

    d)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로, 최대비율로 기체를 끌어올렸을 때 전 엔진 작동 시 1.1VMU 이상, 1개 엔진이 부작동 시 1.05VMU 이상의 VLOF가 되는 속도.

     

    V2 : Takeoff Safety Speed ; (1)활주로상 규정된 높이 (Dry 활주로에서는 35ft)에 이를 때 얻을 수 있어야하는 속도. (2) 속도 VR 로 이륙면상 35 피트의 고도에 도달할 때까지 얻어지는 속도 증가분을 더한 속도. 다음 속도 보다는 커야 합니다.

     

    VMBE : Maximum Brake Energy Speed ; Brake를 최대한으로 걸어 비행기가 정지 할 수 있는 최대 속도. Brake 조작에 의해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됩니다. Brake는 그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야하며, Brake가 흡수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에너지가 Brake에 더해지면 파열되므로 비행기가 정지할 수 있는 최대 속도가 됩니다.

     

    VLOF : Liftoff Speed ; 항공기가 지면을 이탈하는 속도, 받음각, Flap , 기체중량에 따라 변합니다.

    Liftoff SpeedMaximum Tire Speed보다 작아야한다. 여기서 Maximum Tire Speed는 타이어 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IAS-Indicated Airspeed ; 지시대기속도 조종실에 놓여있는 속도계의 지시속도로 해면기압에서의 공기의 압축성 영향이 고려되어 있고, 위치오차는 수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운항승무원이 성능도표를 사용할 때 마하수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속도입니다. 항공기 속도계는 피토 정압시스템에 의해 속도를 측정하는데, 전체 압력 (Total Pressure; Pt) 과 정압 (Static Pressure; Ps) 사이의 차이에서 얻습니다. 이 차이를 Dynamic Pressure (동압; q) 라고 하는데, 이를 직접 측정할 수는 없고, 두 개의 Probe 로 구할 수 있습니다.

    Dynamic Pressure (q) = Total Pressure (Pt) - Static Pressure (Ps)

    항공기는 "Pitot-static system"을 이용하여 전체압력과 정압을 측정합니다. => "속도측정의 원리"

    (한 장비에 Pitot Static probe 가 같이 있는 것도 있고, Pitot Static probe 가 별개로 떨어져 있는 것도 있습니다.)

     

    CAS-Calibrated Airspeed ; CAS 수정 대기속도는 지시대기속도(IAS)에서 피토관의 위치오차를 수정한 것으로, 특히 저속 시에 규정상 필요한 제한속도를 정하는데 이용되고 있습니다.

     

    TAS-True Airspeed ; 진대기 속도는 CAS에서 공기 압축성이 해면기압에서의 조건인데 이는 항공기운항 시 변수이므로 공기압축성 효과를 보정한 속도가 EAS(Equivalant Airspeed) 등가대기 속도인데 이 속도에서 밀도 수치를 보정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TAS =EAS

     

    GS-Ground Speed ; 대지속도 GS는 고정된 지상을 기준한 속도로, 바람 성분을 보정한 TAS 입니다. Ground Speed = TAS + Wind Component 이는 결국, 지상에서 느끼는 하늘을 날고 있는 항공기의 속도입니다.

     

    Mach- 마하수 ; 마하수는 TAS와 음속의 비율로서 정의, 음속은 기온만으로 정해집니다. 따라서 기온에 따라 속도의 차이가 생기며 기온이 낮은 만큼 음속도 낮게되죠. 공기 압축성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고속에 있어서 대부분 속도를 마하수로 표시합니다. (=> 공군에서 사용하는 전투기들은 대게 '마하' 단위로 속도를 표시하죠!)

     

    휴,, 정의나 용어는 언제나 좀 지루한거 같기도하고... 그래서 항공용어는 워낙 방대해서 시리즈로.. 하나씩 포스팅 하겠습니다! :)

     

    그럼 안녕~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