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교통_시스템 및 특성(feat.항공교통개론)항공관련 이야기/항공상식 2020. 10. 30. 03:01반응형
안녕하세요. 항공쟁이입니다!
항공이란 주제로 블로그를 포스팅 중인데요.
이번엔 '항공교통개론'이란 두꺼운.. 항공교통 관련 책을 좀 요약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전반적인 항공 지식을 쌓을 수 있고, 앞으로 항공관제 혹은 항공사고 등 썰을 풀기 위한 밑그림 작업입니다 :)
1. 항공교통 시스템 및 특성
항공교통은 아래와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공교통 구성요소인 항공기/항공종사자/항공로/공항시설 중에 항공기와 항공종사자는 앞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앞으로 항공로와 공항시설도 포스팅할 주제가 남아있네요!
참 항공종사자도 운항관리사 위주로 포스팅을 해서 조종사, 관제사, 정비사도 기회가 된다면 자세히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 항공교통의 특성
항공교통의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나씩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죠.
1. 안전성 ; 항공기 사고 발생 시 많은 희생자를 발생시키므로 안정성이 강조, 항공기의 성능개량, fail-safe 시스템 등의 발전으로 안전성 크게 향상
▷ 항공기가 자동차보다 안전하다는 사실은 알고 계시죠?! 항공기가 추락해서 사망하는 사고보다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는 사망률이 훨씬 높지만, 항공기는 워낙 많은 사람들의 목숨이 달려있기도 하고 이슈가 잘되다 보니 사람들이 많이 두려워하시지만 '현존하는 기계들의 총 집합체'인 항공기는 교통수단 중에선 당연 가장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신속성(고속성) ; 항공교통은 타 수단과 비교할 수 없는 고속으로 사람과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과 특성을 갖는 유일한 운송수단
▷ 비행기보다 빠른 교통수단이 있을까요? 비행기의 순항속도는 대게 약 900km/hr 정도 되는데요.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불가능해서 그렇지 만약 통일을 가정하고 부산에서부터 기차를 타고 시베리아 횡단 열차다고 유럽을 간다던가,, 혹은 배를 타고 미국으로 간다던가,, 아주 깝깝하지 않나요? 이 특성은 정말 두말하면 입이 아플 정도로 당연한 얘기 같아요.
3. 정시성 ; 항공운송은 타 운송수단과 비교했을 때 기상조건, 탑승수속 등으로 정시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나, 시간표에 따라 운항하게 함으로 이용객에게 서비스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함
▷ 흠.. 많은 사람들이 응? 하면서 많이 공감이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이나.. 요즘처럼 코로나19로 운항이 많지 않은 요즘엔 엄청난 정시성을 자랑한답니다.. 또륵ㅠ 정말 많은 항공사들이 고객들과의 시간 약속을 잘 지키려 1분 단위로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승객들의 안전을 생각해서 또 보고 점검하고 챙기다 보니 조금은 늦을 수도 있는데.. 그래도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주시면 좋겠어요!
4. 국제성 ; 취항 노선 결정, 노선 취항 시 공급좌석과 운항 횟수, 이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 등 모든 사항이 상대국가나 비행 시 공역을 통과하거나 착륙하는 관련 국가와 체결된 모든 협정상의 관계 등에 의거하여 결정됨.
▷ 이미 위에서 언급했지만, 국내 제주도 갈 때 비행기를 많이 이용하기도 하지만 주로 비행기를 탄다는 것은 해외를 나갈 때 많이 이용하게 되지요. 그래서 항공교통의 특성에 국제성이 들어가게 됩니다. 단순 우리나라의 규정, 법, 절차만을 지키는 게 아니라 국제적인 약속 및 규율 등을 잘 지켜야만 나라와 나라 간 운항을 안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5. 독과점성 ; 항공운송사업은 정부의 면허를 받은 자만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에서 경쟁 없이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 요즘 코로나19로 항공사들이 휘청휘청하고 있는데, 항공사가 매물로 나온다고 했을 때, 언론에서 엄청난 주목을 가지고 뉴스를 많이 내보내는 것을 본적이 있나요? 항공업은 독과점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국가 즉, 국토교통부에서 '허가'를 내줘야지만 항공운송업을 할 수 있는 겁니다. 삼섬, 현대, SK 등 국내 내로라하는 돈 많은 대기업도 돈을 조 단위로 가져다줘도 항공사 설맆은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그래서 이미 운송허가를 받은 항공사를 인수하는 게 면허를 취득하는 거보다 쉬워 매각 관련 이슈가 나오면 시끌시끌해지는 것 같아요.
6. 경제성 ; 항공운송산업은 공항만 지으면 되기 때문에 도로건설 등 보다 저렴하며, 통신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 절약을 생각한다면 경제성 있음.
▷ 이 특징은 단순히 '이용료'만 비교한다면 충분히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당연 비행기 티켓이 그 어떤 교통수단보다 가장 비싸니까요..ㅎ 하지만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기는 참 어렵죠. 비싼 비용을 내는 대신 시간을 절약하는 면을 본다면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여행만 생각하지만 화물운송이나 무역업계에서는 항공을 통한 수송은 엄청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고요!7. 쾌적성(고객서비스) ; 비행을 한다는 것으로 승객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으므로 쾌적성을 통해 불안감 상쇄시키려 노력함. 최근 항공기의 신형 및 대형화에 따라 공간의 여유와 기압, 온도 조절 등으로 쾌적성이 높아짐.
▷ 물론 비행기가 추락할까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사고확률은 거의 없으며 어디론가 멀리 장거리 여행을 갈 때, 영화를 보고 누어서 잠 도자고 기내식도 먹으며 다른 버스나 기차보다 훨씬 쾌적하다고 할 수도.. 너무 억지일까요?;;;
8. 응수성 ; link 가 아닌 spot to spot으로 자유롭게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 수요에 응한다는 의미로, 예를 들어 미국에 가려는 수요가 많다면 노선을 허가받고 운항을 시작해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켜 준다는.. 사실 이건 저도 확실한 의미를 알고 있진 않아서 설명이 어렵네요;;
■ 항공교통의 구성
: 항공기, 항공종사자, 공역구조, 공항 시설
항공교통은 위 네 가지 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씩 개념 정도만 정리하겠습니다.
1. 항공기
항공기는 우리가 아는 그 비행기를 뜻하지만, 정의를 말하려고 하면 좀 복잡하게 말하게 되는 거 같아요.
- 국내항공안전법
;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 MTOW,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기기
- ICAO부속서
1) 비행기 ; 비행 중 비행상태에 따라 고정된 표면에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반작용으로부터 양력을 주로 얻는 공기보다 무거운 동력 항공기
2) 항공기 ; 지구 표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이 아닌 공기의 반작용으로 대기 중에 부양되는 기기
-미국 연방 항공법 FAA
1) 비행기 ; 날개의 공기 역학적인 반작용으로 대기 중에 부양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고정익의 동력 항공기
2) 항공기 ; 공중에 비행 아기 위하여 사용된 또는 사용되는 장치
2. 항공종사자
; 항공종사자 자격을 받은 사람으로, 항공 업무(항공교통관제업무, 운항관리업무, 정비·수리·개조된 항공기 장비품 부품에 대하여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지 확인)를 행할 수 있는 자.
1) 운송용조종사
2) 사업용조종사
3) 자가용조종사
4) 부조종사
5) 항공사
6) 항공기관사
7) 항공교통관제사
8) 항공정비사
9) 운항관리사
▷ 6번 항공기관사는 이제 없어진 직업이 되었고요, 1~4번까진 우리가 아는 비행기 조종사예요.
정말 특이한 점 하나 있지 않나요? 우리가 하는 캐빈승무원 즉 승객을 응대하고 비상시 안전을 담당하는 예쁘고 멋진 기내 승무원은 명확히는 항공종사자로 구분되지 않아요. 즉, 국가에서 발행한 면허가 불필요한 직업이죠. 항공업계 종사자임에도 이렇게 면허 소지가 필수이냐 아니야에 따라 또 갈라지게 됩니다. 그래서인지 항공종사자는 좀 그 수가 제한적인 거 같아요. 물론 정비사는 워낙 수요가 많아서 제외하구요 :)
3. 항공로(항로)
; 항공기가 비행하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놓은 공역 상의 통로로서 국가가 항공기의 항행의 안전성에 공인한 통로이며, 항공기 항행에 적합하도록 항행안전 무선시설 전파 등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공간의 통로
▷ 항공로현황
- 국제항공로 : A582, A586, A593, B332, B467, B576, G339, G585, G597 (9개)
- 국내항공로 : V11, V543, V547, V549, W45, W61, W62, W69 (8개)
- RNAV 항공로 : L512(국제), Y233, Y437, Y579, Y253, Y644, Y655, Y657, Y659, Y677, Y685, Y697, Y711, Y722, Y744, Y781, Y782, Z50, Z51, Z52, Z53, Z54, Z54, Z55, Z56, Z63, Z81, Z82, Z83, Z84, Z85, Z92 (31개)
▷ 자동차가 길에 그려진 차선을 따라 운전이 가능하다면, 비행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항로'라는 전파선을 따라 비행하게 됩니다. 지상에는 항행안전시설이, 바다에는 GPS 등을 통한 좌표로 FIX를 지정하여 이를 이어 항로를 만들게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항로가 매우 복잡한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국내 항로도 여기에서 재밌는 사실 하나 덧붙이자면, 전 세계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항로는 바로 우리나라 Y711/Y722라고 합니다. 이게 바로 서울-제주도를 잇는 항공로인데요. 원래는 B576인 단일 항로였는데 워낙 항공교통량이 많다 보니 이를 복선화 시켜서 Y711은 서울에서 제주도로 내려가는 항로, Y722는 거꾸로 서울로 올라오는 항로로 분리해서 관제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제주도를 가는지 알 수 있지요? 특히 요즘같이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막힌 이 시점에 국내 항공사들은 김포/제주노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김포공항에 가시면 정말 거의 10분에 1대씩 제주도를 가는 비행기들이 새벽부터 밤까지 있는 거 같아요.
■ 공항의 개념과 구비 요건
공항은 그냥 우리가 아는 그 공항이에요. 개념을 가져오다 보니, 또 지루해져서 공항이라 하면 이렇게 정리되는구나 정도로 보시면 될 거 같아요.
- 비행장 ; 항공기(경량·초경량)가 이륙 및 착륙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
- 공항 ; 공항시설을 갖춘 공공용 비행장으로서 국교장이 그 명칭·위치 및 구역을 지정·고시한· 것으로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하기 시키는 장소이며 공항에 필요한 각종 시설과 장비는 물론 공항 주변의 공역도 비행하는데 지장이 없어야 한다. 즉, 기본시설, 기준에 맞는 공역, 편리한 접근로가 있어야 함.
1) 기본시설
- 활주로, 유도로, 착륙대 및 주기장과 항행안전시설
- 항공교통관제시설과 소방시설
- 여객청사와 부대시설
- 격납고, 주유시설 등
2) 항공기가 이착륙 시 필요한 공역
- 공항접근 항공로
- 장애물이 없는 진입구역
- 수평표면, 전이표면, 원추표면
- 비행장인근 장애물 없어야 함
3) 공항접근로와 시설
- 지상의 육상교통기관이 연결
- 화물의 보관, 적하 등에 도움 주는 장비
- 검색 기관요원의 상주
- 휴게시설, 안내시설 등
오늘은 여기까지! 너무 자세히 들어가면 지루해지는 것 같아서, 개념은 간단한 설명 정도로 풀도록 할게 요!
그럼 안녕~
반응형'항공관련 이야기 > 항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계획서FLIGHT PLAN(FPL)의 종류_ ATC FPL? OFP? (0) 2020.11.06 공항 비용(Aerodrome Charge) 정리_feat. AIP GEN 4.1 (0) 2020.10.31 Air navigation_공중항법(2) GPS보정 GBAS,SBAS (2) 2020.10.29 항공용어 풀이_운항관리 용어(무게와 속도) (2) 2020.10.26 Air navigation_공중항법(1) (2)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