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선 국지비행 비교 분석_feat. 아시아나항공 & 제주항공항공관련 이야기/항공관련 썰 2020. 12. 13. 00:11반응형
안녕하세요. 항공쟁이입니다.
오늘 드디어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이 일본 공역을 들어갔다가 나와서 다시 ICN 공항으로 착륙하는 국제선 관광비행을 맞쳤습니다.
그래서 두 항공사의 비행 루트를 비교 분석해봤습니다.
■ 아시아나항공
(FPL-AAR1588-IN
-A388/J-SDE1E2E3FGHIJ2J3J4J5M1P2RWXYZ/LB1D1
-RKSI0400
-N0380F150 OSPOT1L OSPOT Y782 TGU/N0395F150 Y781 MASTA/N0385F150
Y781 BESNA/N0431F250 Y209 IKE/N0443F250 DCT SALID DCT
OLE/N0430F250 DCT KAZSA DCT SASIK/N0424F250 DCT LALAG DCT
MZE/N0481F260 DCT JINGU A1 HKC Y50 RUSAR/N0466F270 Y579
RUGMA/N0380F110 Y579 CJU/N0430F210 Y722 OLMEN OLMEN1E
-RKSI0305 RKSS
-PBN/A1B1C1D1L1O1S1S2 DAT/1FANSP CPDLCX SUR/RSP180 260B DOF/201212
REG/HL7625 EET/RJJJ0039 RKRR0203 SEL/EJCR CODE/71BE25 OPR/AAR
PER/C RMK/TCAS II EQUIPPED MSN=NI)FPL을 보니 아시아나항공 A380은 인천공항에서 오전 11시(04Z)에 출발해서 OSPOT1L SID 절차를 이용해서 OSPOT fix로 이동, Y782 항로를 타고 TGU/N0395F150 (대구)까지 갑니다.(여기서 속도를 395kt, 고도 15000ft) Y781 항로를 타고 MASTA/N0385F150 fix에서 속도를 385kt로 줄이네요. 이후, Y781항로를 타고 BESNA/N0431F250(여기 이후는 일본 공역)까지 가면서 속도와 고도들 좀 상승시킵니다. 이후 Y209항로를 타고 IKE/N0443F250 까지 이동하는군요. 이후 DCT(Direct ; 항로없이 직접 연결)로SALID fix까지 이동후 이후 각 fix를 DCT로 연결하네요.
DCT OLE/N0430F250 DCT KAZSA DCT SASIK/N0424F250 DCT LALAG DCT MZE/N0481F260 (미야자키) DCT JINGU 이 fix를 지나서는 항로 A1을 이용해서 HKC fix로 이동후 항로 Y50 를 타고 fix RUSAR/N0466F270 이후 항로 Y579를 이용해서 fix RUGMA/N0380F110(이 fix 이후는 대한민국) 이동 및 고도와 속도를 낮춥니다. 이후 항로 Y579 CJU/N0430F210(제주도를 보고) Y722를 이용해서 인천공항 근처 fix인 OLMEN까지 이동 후 OLMEN1E STAR절차로 인천공항으로 돌아왔네요.특징점을 보자면, 부산 근처는 FL150, 제주도는 FL110으로 저고도로 비행을 했다면, 일본 상공에서는 평균적으로 FL250으로 관광비행 치고는 약간 고고도?(보통 여객기는 평균적으로 FL350 이상으로 비행합니다.)로 비행한 것 같아요.
AAR1588 항적 ----------------------------------------------------------------------
■ 제주항공
(FPL-JJA388-IN
-B738/M-SDE2FGHIRWY/EB1
-RKSI0200
-N0401F290 OSPOT1L OSPOT Y782 TGU/N0429F290 Y781 OMOTU/N0406F290
Y781 BESNA Y209 IKE/N0384F290 A595 DGC/N0451F300 G339 BEETL Y208
INVOK Z91 PSN Y782 BITUX Z53 BASEM Y685 GUKDO DCT
-RKSI0149 RKSS
-PBN/A1B1C1D1L1O1S2 SUR/260B DOF/201212 REG/HL8304
EET/RJJJ0037 RKRR0102
SEL/BKDH CODE/71C304 RMK/TCAS II EQUIPPED
-E/0316 P/TBN R/VE S/M J/LF A/WHITE ORANGE)(제주항공이 아시아나항공보다 먼저 운항을 했는데, 글을 쓰다 보니 이후에 쓰게 되었습니다.)
제주항공은 현지시각 오전 11시(02Z) 인천공항을 출발하여 OSPOT1L SID를 이용해서 OSPOT fix로 이동후 항로 Y782를 타고 TGU/N0429F290 대구까지 갔네요. 이후 항로 Y78을 타고 fix OMOTU/N0406F290(이 픽스 이후가 일본 공역)로 이동, 항로 Y781을 타고 fix BESNA 이후 항로 Y209 타고 fix IKE/N0384F290 항로 A595타고 fix DGC/N0451F300(후쿠오카 근처), 항로 G339타고 fix BEETL 이후 항로 Y208타고, fix INVOK 이후 항로 Z91 타고 PSN(부산)을 거쳐서 항로 Y782타고 fix BITUX 이후 항로 Z53 fix BASEM 이후 항로 Y685 fix GUKDO 이후 DCT 인천공항까지 직접 연결해서 비행을 마쳤습니다.
제주항공은 고도가 거의 FL250으로 고도 변화가 거의 없는 거 같아요.
7C388 항적 아시아나항공과는 다른 항적이 확연히 비교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주항공은 저번 국내관광비행(하트시그널)때도 제주도 상공을 들르지 않고 돌아왔는데, 이번에도 제주도는 안 가고 부산을 통해 일본 공역 상공을 한 바퀴 선회 후 인천공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정말 일본 공역 중에서도 가장 가까운 후쿠오카 상공을 휙 지나서 바로 대한민국 공역으로 돌아왔고요.
반면,
아시아나항공은 저번 국내선 관광(한반도 일주) 비행처럼 제주도 상공에서 8자를 그리며 낮은 고도로 한라산을 보고 돌아온 것 같아요. 그리고 제주항공보다 조금 더 일본 공역 아래로 내려갔다가 한반도를 반 정도 그리면서 올라왔네요.
아무래도 비행기표 단가 차이가 있어서(아시아나항공이 약 2배 정도라고 알고 있어요) 제주항공보다 좀 더 서비스 비행을 더 한 것 같습니다.(어디까지나 저 스스로의 추측입니다ㅎ)-------------------------
아무래도 이번 국제비행은 "면세점 이용이 가능하다"라는 아주 큰 차이가 있던 새로운 비행이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었던 비행인 것 같아요. 공교롭게도 오늘 국내 코로나 19 확진자가 950명을 넘으며 역대급 비상이 걸렸고,, 좀 나아지나 싶었는데 이렇게 큰 고비가 다시 와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코로나19 백신이 내년부턴 접종이 가능하다고 하니 이러한 비행은 다시 역사 속으로 들어가고, 원래의 일상으로 돌아가서 여행다니는 생활이 오면 좋겠네요.
반응형'항공관련 이야기 > 항공관련 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관련 뉴스 _ 항공업계 변화 및 새로운 소식(혹은 썰) (0) 2020.12.29 항공업계 변화 시작?! _ feat. t'way Air A330 도입 (0) 2020.12.22 국제선 관광비행 Preview _ 면세점 쇼핑 가능! (0) 2020.12.09 금호아시아나 그룹이 망한 이유?! _ feat. YouTube 동영상 자료 (0) 2020.12.08 KCGI 한진칼에 대한 가처분 소송 기각_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통합 향후 일정 (0) 2020.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