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직시계열도 해석_feat. 방재기상정보시스템
    항공관련 이야기/항공상식 2021. 1. 27. 07: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바쁘다 보니,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됩니다.
    오늘은 항공운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기상' 관련한 글을 쓰려고 합니다.

    바로 '연직시계열도' 관한 글인데요.

    실제 업무에서도 이 표를 보면서 기상의 전망? 앞으로 좋아지는지 나빠지는지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많이 활용이 되는데 처음 보면 너무 보기도 어렵고, 저도 공부하는 차원에서 방재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로 어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아주아주 간단한 정리를 해봤습니다.

    ■ 연직시계열도

    1. 방재기상정보 시스템 사이트 접속(afso.kma.go.kr/afsOut/rsp/ptl/main/loadPtlMain.kfrm) [로그인 필요]
    2. 위험기상감시 탭 클릭 - 항공 - 위험기상 - 공항 연직시계열36(hr)
    3. 조회하고 싶은 공항 선택→ [지점 : 인천,김포,제주,양양,김해,청주,대구,울산,여수,목포,광주,사천,포항,무안공항]

    제주공항 연직시계열도 (36시간)입니다. 위 표처럼 아주 여러 개 정보가 혼합되어있어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너무 난해합니다 ㅠㅠ 방재 기상청 해석 자료를 토대로 하나씩 쪼개서 보도록 하죠!

    ■ 1단 : 기온, 풍속, 구름

    <1단>
    기압: y축에 250~1000 hPa인 값에 대하여 표기
    기온: 빨간색 실선, 2°C 간격으로 표출
    풍속: 검은색 바람 깃으로 표출 [knot]
    구름: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은 노란색 빗금으로얼음으로 이루어진 구름은 초록색 빗금으로 표식

    앞으로의 설명은 해당 사이트에서 나오는 '도움말'에 포함된 정보를 인용한 것이고요, 설명을 토대로 위 제주공항 연직시계열도를 해석해보기 시작하자면....

    21년 01월 26일 06Z(한국시간 15시)에 발부된 자료이네요. 유효기간은 28일 오후 3시까지 이구요.
    1단은 기온, 기압, 풍속, 구름 정보를 나타낸다고 하는데 보통 여기서 바람 방향을 자주 보는 거 같아요. 제주공항은 특히 남풍이 불게 되면 양배풍 가능성이 있어서 특히 조심하는데 표 오른쪽 부근을 보면 바람이 북풍으로 불다가 남풍으로 돌기 시작하네요. 아무래도 28일에는 남풍이 불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행히 풍속은 강할 거 같진 않네요.

    참고 : 2020/11/27 - [항공운항관리사/항공상식] - 국내공항 특징 분석 Part 1 제주공항 _ feat. 세계에서 가장 바쁜 노선 GMP/CJU

    ■ 2단 : 해면기압(MSLP), 습도(RH)

    <2단>
    해면기압 시계열(왼쪽 y축): 파란색 실선과 검은색 글자로 표출 [hPa]
    습도 시계열(오른쪽 y축): 초록색 실선과 빨간색 글자로 표출 [%]

    ■ 3단 : 총가강수량(TPW), 대류가용잠재에너지(CAPE)

    <3단>
    총가강수량 시계열(왼쪽 y축): 파란색 실선과 검은색글자로 표출 [mm]
    대류가용잠재에너지 시계열(오른쪽 y축): Max DilutedCAPE, 초록색 실선과 빨간색 글자로 표출 [J/kg]

    ■ 4단 : 강수량

    <4단>
    3시간 누적강수량(왼쪽 y축): 강수형태에 따른 4가지 색상의 막대그래프와 검은색 글자로 표출 [mm]
    ※ CS: Convective scale Snow, LS: Large scale Snow
    CR: Convective scale Rain, LR: Large scale Rain
    총누적강수량(오른쪽 y축): 초록색 실선과 빨간색 글자로 표출 [mm]

    사실 위에 2단, 3단은 잘 안 봐서,,(잘 모르기도 하구요..) 4단 강수량 같은 경우 비나 눈 예보 시에 자주 참고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 5단 : 지상바람, 순간최대풍속

    <5단>
    지상바람 시계열(왼쪽 y축): 파란색 실선과 검은색 글자, 검은색 바람깃으로 표출 [m/s]
    순간최대풍속 시계열(오른쪽 y축): 초록색 실선과 빨간색 글자로 표출 [m/s]

    저는 아무래도 이부분을 가장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바람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인데요. 1단에서는 대략적인 고도에 따른 바람 경향을 봤다면 5단에서는 풍속/풍향 정보를 gust(순간최대풍속) 포함하여 자세히 보게됩니다.

    ■ 6단 : 기온

    <6단>
    기온 시계열: 파란색 실선과 검은색 글자로 표출 [°C ]

    보통 기온이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온도가 높아지면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 여름에 이 정보를 눈여겨보는데요, 쉽게 설명하면 기온이 올라가면 공기 밀도가 낮아지면서 항공기 엔진의 퍼포먼스가 낮아집니다. 그래서 같은 중량으로도 기온이 너무 높으면 안전성이 떨어져서 항공기 중량을 낮춰야 할 필요가 생깁니다.

    사실 저도 공부가 덜 되어서 많이 보고 좀 더 구체적인 해석을 해야 하는데, 일단 방재기상정보 시스템에 나온 도움말을 통해 연직 시계열도가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가볍게 이해만 하고 넘어가려 합니다 :)

     

    그럼 안녕~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